prev next

경기규정

 
 

   a) 참가 자격라운드(Qualification Round)
   b) 직접 제외라운드((Elimination Round)
   c) 패자 부활전 (Repechage Round)
   d) 결승전(Finals)

1. 경기방법은 직접제외로 탈락되는 토너멘트 방식으로 진행하며 대진방식은 아이디얼 넘버(Ideal Number) 4, 8, 16, 32, 64명으로 대진표를 작성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a.
참가 자격라운드(Qualification Round)  아이디얼 넘버(Ideal Number) 4, 8, 16 숫자가 넘는 선수가 참가한
        각 체급은 참가 자격라운드를 거쳐 4, 8, 16로 본선 대진표가 확정된다
.
    b.
직접 제외라운드(Elimination Round)에서 처음부터 4, 8, 16등 아이디얼 넘버가 확정된 체급은 직접 본선
       1회전을 한다
.
    c.
패자 부활전(Repechage Round)은 결승에 진출한 두 선수에 패한 선수가 패자전을 갖는다.  양 그룹 패자
       부활전의 시작은 처음 라운드에서 패한 선수부터 차례로 대진하며, 승자가 준결승전에서 패한 선수와
       3~5위전, 동메달 결정전을 갖는다.  각 체급 동메달은 2개가 된다
.

2. 참가체급이 6명 미만일 경우 노르딕 라운드(Nordic Round) 방식으로 전 선수가 리그전으로 시합을 하며,
    동메달은 1개이다
.

3. 3~5위 결정전이 끝나면, 1~2위 결승전을 갖는다.
   a.
결승전에 앞서 선수 및 심판소개 하지 않음
   b.
주심이 시합 전 양 선수의 손수건 검사 하지 않음.
   c.
결승전이 끝나면 그 체급 시상식을 곧바로 시행한다.

4. 각 체급 경기는 당일에 시작하여 당일에 끝내야 한다.

5. 각 체급의 계체량은 해당 경기 체급 하루 전에 실시한다.

6. 노르딕 토너먼트(Nordic Tournament System)의 순위결정(6명 이하 참가)
   a.
4승점(Classification Point) 적용
   b.
더 많은 승점을 획득한 선수가 1위가 된다.
   c.
만약, 두선수가 승점이 동일할 때 전에 두 선수가 싸워서 이긴 선수가 승자가 된다. (승자 승).
   d.
만약 여러 선수가 승점이 같을 경우 아래의 규정을 적용하여 승자를 결정한다.
      1) 폴승이 많은자
      2) 우세승 시합이 많은자.
      3) 우세승 라운드가 많은자.
      4) 전 시합 기술점이 많은자
      5) 전 시합에서 더 많은 기술점을 획득 한자.
   e. 만약 두선수의 기술점이 같은 경우 시합에 승자가 1위가 된다.

 

1. 경기는 2분씩 3회전으로 나누며, 각 회전사이 30초간 휴식을 취한다.(소년, 카탯, 주니어, 시니어)
    각 회전이 끝나면 의무적으로 승자를 결정해야 한다.
    한 선수가 2회전도 승리할 때 3회전은 갖지 않는다.
    폴(Fall)승은 라운드와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경기가 종료된다.

2. 만약, 각 라운드에 승자가 없이 동점일 경우 아래와 같이 승자를 결정한다.
    a. 벌칙을 적게 받은 선수(Caution)
    b. 기술점 평가 (5, 3, 2)
    c. 그래도 같을 때는 후취 점 획득자가 승자가 된다.

3. 크린치 추첨 방법
     a) 직경 30x30cm의 검정색 박스를 준비하고 최소 3cm 정도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심판장
         앞에 보관한다.
     b) 박스 안에는 레드 볼 2개, 블루 볼 2개씩을 넣는다.
     c) 매번 추첨할 때는 심판이 아닌 선수 자신이 추첨하며, 1라운드-레드, 2라운드-블루, 3라운드-레드 순으로
         추첨 공격권을 결정한다.
     d) 추첨 후 볼은 다시 심판장 앞 볼 박스에 집어 넣는다.

4. 각 회전에 동점일 경우 후취점 밑줄(-) 표시를 한다. 

5. 선수 색깔을 표시할 수 있는 광택물질(홍, 청색 준비)로 각 회전에 승자를 표시해야 한다. 

6. 2회전 사이 회복시간은 경기운영을 위해 15분 이내가 되어야 한다. 채점표 타임 란에는 시합 종료시간을 표시해야    한다.

 

  1. 시합운영
     심판단은 주심, 부심 그리고 심판장으로 구성되며, 모든 결정은 3인 만장일치 혹은 2 대 1 찬성으로 결정되며,
     심판단은 재판정을 위해 비디오 판독을 할 수 없다.

  2. 선수권리
     양 선수는 시합이 진행되는 동안 판정에 이의가 있을 때 비디오 판독 신청을 요구할 수 있다. 비디오 판독 신청은
     선수의 코치만이 흰 카드를 들어 심판장에게 요구한다. 이때 심판장은 시합을 중지시키고, 시합이 중립상태로
     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비디오를 판독한다. 그러나, 만약 심판단 혹은 배심원의 동의로 판정이 번복되면
     이를 받아들이고, 나머지 잔여 경기시간 동안 경기를 속개한다. 만약, 비디오 판독 결과 심판단의 판정이 옳고
     항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더 이상 Challenge(도전)은 허용되지 않고 상대선수에게 1점의 기술 점수를 준다.
     ** 선수의 코치는 각 시합에 단 한번만 비디오 판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수의 코치의 Challenge(도전)가
         받아 지면 계속 Challenge(도전)을 할 수 있다.

  3. 배심원
     각 선수권대회를 위해 3명으로 구성된 배심원(담당관, FILA임원, 전문가)이 각 맷트를 관리한다.
     배심원은 부심과 심판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앉는다. 그리고, 어떠한 매너(제스츄어)도 심판 판정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배심원의 주요임무는 심판단의 절차가 레슬링 규정에 입각하여 적용되는지 통제한다.
     배심원이 비디오 재 판독을 요구할 수는 없다. 선수의 코치가 비디오 판독을 요구할 경우, 배심원은 심판단,
     그리고 관계자와 함께 액션을 판독해야 한다. 배심원은 심판장에 의한 심판단의 결정을 보고 받는다. 그리고
     만약 심판단의 실수를 발견할 때 배심원은 최종 변론을 한다. 만약, 심판단 혹은 배심원이 심각한 실수를 한 경우
     그들은 FILA에 의해 제재를 받는다. 그러나, 문제 시합의 추가 항의나 혹은 논쟁은 없다.

 

그레고로만형 경기는 2 라운드를 이겨야 하며, 그레고로만형 경기는 2분간으로 스탠드 1분 30초, 그라운드 30초로 구분한다.  크린치 선택권이 있는 선수는 스탠드 혹은 그라운드 (빠테르 자세에서 상대 어깨 위에 양손을 얻어 놓은자세)를 선택할 수 있고 방어도 선택 할 수 있다. 그라운드 공격선수가 30초 후에도 아무런 기술점을 획득하지 못하더라도 Caution은 받지 않지만 방어선수에게 1점을 부여한다.
공격선수가 아무런 기술적인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즉시, 스탠드 레슬링으로 시합을 계속 진행시킨다. 2분이 끝나면 승자를 결정한다.
0 : 0시합 후 공격선수가 점수를 획득하여 승자가 결정되며, 공격선수가 아무런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면 방어선수가 1점을 얻고 승자가 된다.
    - 1라운드 1분 30초 후에도 0:0일 경우 크린치 우선권이 홍 선수에게 주어지며, 2라운드에서 0:0일 경우 크린치
      우선권은 청 선수에게 주어진다.
    - 만약 선수가 한 라운드씩 승리하고 3라운드에 0:0일 경우 크린치 우선권은 1라운드, 2라운드의 점수를 합산한
      후 가장 높은 기술 점수를 획득한 선수에게 주어진다.
      두 선수의 기술점수가 같은 경우 점수의 가치로 결정되며, 이 점수의 가치로 결정할 수 없을 경우 크린치
      우선권은 추첨으로 결정된다. 30초 동안 기술점이 없을 경우 방어한 선수에게 1점을 주어지며, 그가 시합
      승자가 된다.

 

1. 자유형 클린치는 토스해서 이긴 선수에게 주심은 어느 쪽 다리를 홀드 하겠는지 선택하도록 한다. 선수가
   왼쪽이나 오른쪽 중 선택하면 주심은 상대선수의 다리를 매트 중앙 원 가운데에 내놓도록 하고 공격선수에게
   클린치를 하도록 지시한다.

2. 공격 클린치 선수의 머리는 바깥쪽으로 상대 허리 위쪽에 붙여야 한다.

3. 무릎관절 상하 10cm이내를 그립 등 손과 손만을 맞잡아 클린치를 할 수 있다.  이때 방어자의 양손은 양 어깨
   위에 방어자의 다리는 매트 중앙에서 떨어지면 안 된다.

4. 클린치를 거절하거나 클린치 선수가 홀드자세를 위반할 시 먼저 Attention 큰 소리로 주의를 주고 두 번째는
    Caution, 1점을 상대에게 준다.

    **  특별한 클린치규정에서 **
     자유형 클린치에서 방어자가 양 엉덩이가 매트에 Parterre 상태이나 아직 점수도 없고 반격 성공없이 잡힌
     상태로 30초가 지나면 클린치 공격자에게 1점이 주어진다.

 

1. 큰 기술을 시도하여 5점을 획득하면, 그 회전의 다른 점수와 상관없이 라운드의 승자로 결정한다. 선수가 확정된
    시간이내에 5점의 기술점을 획득할 시 심판은 위험한 자세일 때 가능한 폴을 기다려야 한다.  만약, 폴이 수행
    되지 않을시 심판은 즉각 휘슬을 불어 5점의 홀드를 수행한 선수에게 라운드 승자를 선언한다.

2. 선수가 1회전에서 3점짜리 기술을 2번 성공하면 1회전의 다른 점수와 관계없이 한 라운드의 승자로 결정한다.
    선수가 확정된 시간이내에 3점의 기술점을 두 번 획득할 시 심판은 위험한 자세일 때 가능한 폴을 기다려야 한다.
    만약, 폴이 수행되지 않을시 심판은 즉각 휘슬을 불어 3점을 두 번 행사한 선수에게 그라운드 승자를 선언한다.

3. 상대 선수와 6점 이상의 점수 차이가 나면 라운드 승자로 결정한다. 

4. 스탠드 레슬링에서 공격선수의 발이 액션 & 홀드 수행 전이나 혹은 홀드 시작 시 설정된 라인(zone 지역)을
    벗어나 보호구역에 먼저 발을 짚는 선수는 1점을 잃는다. 그리고, 장외 홀드 수행으로 획득한 점수는 주어지지
    않는다.

5. 스탠드, Parterre 자세에서 매트이탈(fleeing the mat), 홀드회피(fleeing the holds)는 1 ~ 2점의 기술점을 잃게
    되고 벌점을 받는다.

6. 스탠드에서 방어선수가 매트를 이탈할 경우 벌점을 받으며, 공격선수에게 1점을 주고 Center에서 스탠드로
    시작한다. 

7. FILA 의사가 참관하는 올림픽대회, 세계선수권, 각종 국제대회에서 임의로 출혈 없는 부상으로 경기를 중단시킬
    경우 행위선수에게 1점을 준다. 

8. 한 선수가 불법적인 액션으로 상대선수에게 부상을 입혔을 경우 시합은 중지되고, 상대선수에 1, 2점을 준다.
   선수는 불법적인 홀드에 대한 벌칙 후 스탠드자세에서 시작한다.  만약, 불법적인 액션이 의도적이면 격렬한
   행위로 인정되어 그 선수는 실격된다.

9. 옆 굴리기, 발목잡고 돌리기(크로스 앵글)는 계속해서 여러 번 수행할 수 있다. 

10. 두 시합 사이의 회복시간은 경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15분 이내로 한다.

 

부정적인 레슬링과 불법적인 홀드에 대해 레슬링 규정에서 언급하는 모든 벌칙이 엄격히 적용된다. 심판은 불법적인
행동에 대하여 즉, 한번은 구두경고(Attention), 그리고 만약 불법적인 행동을 멈추지 않을 때는 그 선수에게 벌칙을
준다. 또한 불법적인 행동을 당한 상대선수에게는 그 행위에 맞는 점수를 준다.  

불법적인 행동
    - 홀드 이탈
    - 매트 이탈
    - 크린치 자세 이탈 (한번)
    - 그레고로만형에서 상대 가슴에 머리를 박고 있는 행위
    - 빠테르에서 상대 허리공격을 방해하는 행위
    - 스탠드 자세에서 상대 컨택를 거절하는 행위

   
 

규 칙 요 약

 
구 분

규 칙 요 약

경기진행

  당일종료(1일)

경기시간

  2분 3회전(30초 휴식)

그레고로만형

  1분 30초 스탠드, 30초 그라운드

자유형

  2분 스탠드, 30초 클린치(무승부)

승자판정

  라운드별 별도 비교
  두라운드 승자

테크니컬 폴

  6점차(라운드 종료)

큰기술(5점)

  라운드 종료

밀어내기

  1점(신설)

 

 1. 직접 제외된 각 체급의 순위는 아래 보기와 같이 결정된다.
     1) 동메달이 걸린 두 경기에서 패한 선수들은 공동 5위가 된다.
     2) 다음 7위 이하 선수들에 대해서는 승점에 의한 평가로 순위를 결정하며 같은 승점일 때 아래 방식에 의하여
         결정한다.
     3) 만일 선수들의 순위를 아래의 방식에 의해서 결정하지 못할 때는 공동순위로 한다.
        a. 폴(Fall)승이 많은 선수
        b. 큰 점수 차(6점 차이) 승리가 많은 선수
        c. 큰 점수로 승리한 라운드가 많은 선수
        d. 전 시합에서 획득한 기술점수가 많은 선수
        e. 전 시합에서의 실점이 적은 선수
            - 패자부활전에 참가한 선수는 전 경기 동안 획득한 분류 점수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2. 도핑(Doping) 실격 순위 결정
   - 만약 금메달, 은메달을 받은 선수가 실격(도핑포함)되면 최고의 승점을 획득한 동메달 리스트가 은메달을 받고
     4위 선수가 동메달을 받으며 4위부터는 랭킹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3.  (classification Points)

 

a. 폴(fall)승, 기권승, 부상, 실격승

5점

 

b. 큰 점수 차, 포기

4점

 

c. 점수 차에 의한 승

3점

 

d. 기술점을 획득한 패

1점

 

e. 기술점이 없는 패

0점

  4. 채점
      - 단체전 10위까지 점수

 

1위  - 10

5위  - 6

 

2위  -  9

7위  - 4

 

3위  -  8

8위  - 3

 

4위  -  7

9위  - 2

 

5위  -  6

10위 - 1

    - 센터 안에서 상대의 반칙으로 Parterre가 중단될 때만 벌점과 점수를 주고 경기는 Parterre 자세에서 시작된다.

5. 그레고로만형 스타일 클린치 자세(Grecoroman Style Clinch Position)

 

 

 

   
위로